
안녕하세요! 하니마미입니다.
임신을 병원에서 확인하고 나면 내가 아이와 언제쯤 만날 수 있을까 너무 궁금해지는데요. 초산맘이였던저는 어떻게 계산해야 할지 모르겠더라고요. 병원에서 임신을 막 확인했는데 벌써 4주라고요? 임신 2개월 차라니! 왜 그렇게 되는지 이해가 가지 않았어요. 저와 같은 생각을 하는 예비 엄마들을 위해 오늘은 출산예정일을 계산하는 방법과 임신 주수 계산하는 방법을 함께 알아볼게요.
출산 예정일 계산하기
• 마지막 생리일 +280일
출산 예정일은 마지막 생리일을 기준으로 계산하게 됩니다. 수정되고부터 출산까지의 기간은 보통 266일이라고 하는데요. 임신이 된 정확한 날짜는 난자와 정자가 만나 수정 또는 착상한 날짜로 봐야 하지만, 우리는 그 날짜를 알 수가 없잖아요. 그래서 생리 시작 후 2주 후에 수정이 이루어진다고 생각하고 마지막 생리일로부터 280일이 지난날을 출산 예정일로 계산합니다. 보통의 생리주기는 28일 정도인데 모든 여자들의 주기가 다르다 보니 25일의 주기를 가지고 있는 예비 엄마의 경우 3일을 뺀 277일 후를 출산 예정일로 계산하면 되고, 생리 주기가 28일 이상인 경우에는 날짜를 더하면 되겠죠?
• 네겔식 계산법
네겔식 계산법은 생리 주기가 일정하지 않을 때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라고 해요. 마지막 생리를 한 달에서 3을 빼면 되는데, 1월 같은 경우 뺄 수 없기 때문에 9를 더하고 마지막 생리일에서 7을 더하면 돼요!
마지막 생리를 시작한 날이 6월 20일인 경우,
출산 예정일은 3(6-3)월 27(20+7)일이 되는 거죠!
또 마지막 생리를 시작한 날이 1월 20일인 경우의 출산예정일은
10(1+9)월 27(20+7)일이 됩니다.
• 기초체온 곡선 확인법
체온이면 체온이지 기초체온은 뭘까요? 기초체온이 높으면 임신이 잘 된다는 속설이 있어 기초체온을 알고 계신 분들도 많을텐데요. 기초체온이란 충분한 수면을 취한 뒤 일어나 아무런 활동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의 체온을 말해요. 일반적으로 배란 전에는 체온이 36.3도 정도를 유지하다가 배란 후에는 36.8도 정도로 올라가게 되는데요. 임신이 되지 않으면 생리가 다시 시작되면서 체온이 다시 배란 전 체온으로 떨어지게 된다고 해요. 임신이 되면 평균 체온이 36.8도 정도로 유지되게 되고요. 이때 체온은 3~4개월간 꾸준히 측정해야 알 수 있기 때문에 평소에 체온을 재서 기록해 두는 것이 좋아요. 그리고 꼭 배란일에 임신이 되는 것이 아니니 병원에서 알려주는 출산 예정일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임신 관련 어플 다운받기
임신 관련 앱 다운받기 이방법이 가장 편한 방법이지 않을까 싶어요! 어플을 다운받고 마지막 생리일을 입력하면 어플에서 자동으로 계산해 준답니다.
임신 관련 어플은 280days,베이비 빌리,마미톡 열 달 후에 등 다양하게 있으니 원하시는 어플로 다운받아서 사용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저는 사실 이 4개의 어플을 모두 다운받아서 사용했는데요. 그림체는 280days 어플이 마음에 들었고, 어플을 사용하는 데에는 베이비 빌리가 좋았어요.
베이비 빌리는 출산 예정일로 같은 출산 예정 달인 예비 엄마들끼리 소통할 수 있는 카테고리가 생겨요. 그래서 궁금한 사항은 물어보고 함께 공유하면서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어서 좋았어요.
출산하고 100일 정도가 지난 지금은 열달후에 어플로 아이의 예방접종 일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육아 할때에도 어플은 필수더라구요.

• 검색사이트 출산 예정일 계산기
만약 어플을 다운받는 게 싫다 하시는 분들은 아주 간단하게 네이버에 검색하면 출산예정일 계산기를 사용하실 수 있는데요. 날짜로 계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혹시나 생리주기가 불규칙하신 분들이라면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으면 좋겠죠.
• 병원 계산법 (초음파)
임신 5주 차부터 초음파 검사를 진행해서 임신 여부와 태아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는데요. 예비 엄마의 마지막 생리 일자가 정확하지 않으면 초음파를 기준으로 출산 예정일을 알 수 있어요. 초기에는 아기집과 난황의 위치를 알 수 있고, 7주 이후에는 태아의 머리부터 엉덩이까지의 길이를 측정해서 예정일을 예측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이가 크는 속도가 모두 다르고, 산부인과 원장님들에 따라 측정하는 위치가 다를 수 있어 약간의 오차가 존재합니다. 그 때문에 출산 예정일은 말 그대로 예정일일뿐 정확한 날짜가 아니라는 점을 알고 있으면 좋을 것 같아요.
• 병원 계산법 (자궁저 높이)
태아는 앞으로 엄마의 자궁 속에서 크게 되는데 이 자궁의 크기로 출산 예정일을 계산할 수 있어요. 자궁저 높이란 골반 쪽에 있는 치골부터 자궁의 가장 높은 곳까지의 길이를 말합니다. 임신 중기(20주~31주)의 경우에는 특별한 임산부를 제외하고는 자궁저 높이가 임신 주 수와 거의 다르지 않다고 해요. 과거에는 이 자궁저 높이로 태아의 발달 상태를 확인하는 데 사용했다고 합니다.
자궁저 높이는 임신 9개월 차가 되면 가장 높아지는데 만삭 때는 태아가 밑으로 내려와 오히려 자궁저 높이가 낮아진다고 합니다.
이렇게 출산예정일과 임신 주수를 계산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는데요. 이렇게까지 다양한 방법이 있으니 본인에게 잘 맞는 방법으로 계산을 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사실 임신을 하고 산부인과에 가게 되면 산부인과 원장님께서 말씀해 주시더라고요.
출산 예정일을 걱정하고 기다리기보다는 엄마의 마음을 편하게 가지고 뱃속에 있는 소중한 아이와 건강하게 10개월을 보낸 뒤 예쁘게 만나는 게 가장 중요한 것 같아요. 이 포스팅을 보시는 모든 분이 우리 소중한 아이와 건강하게 만날 수 있기를 바랄게요!
'육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산부 단축근무 시기, 신청방법, 정기검진 휴가 (0) | 2024.08.22 |
---|---|
임신 중 튼살 생기는 원인, 예방방법 (0) | 2024.08.21 |
임산부 필수 영양제 종류 복용시기 방법 주의사항 총정리! (3) | 2024.08.20 |
임신초기 피비침 피고임 이유와 대처법 (0) | 2024.08.19 |
임신 초기 증상과 임신 확인 방법 알아보기! (0) | 2024.08.18 |